검사 방법
마음셈 정신건강의학과
종합심리 검사
종합심리 검사란 개인의 성격, 지능, 적성 등 다양한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과정입니다. 객관적 검사, 투사적 검사와 같은 다양한 심리 검사와 면담, 행동 관찰 등을 통해 종합적인 평가를 합니다.
내담자에 대해 심층적인 이해를 할 수 있으며, 개인의 성향, 기질뿐 아니라 질병의 유무 등을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해피마인드 종합 주의력 검사 (Comprehensive Attention Test, CAT)
아동 및 청소년 그리고 성인의 주의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단순 주의력, 선택 주의력, 지속 주의력, 분할주의력, 작업기억력 등 5가지 종류의 주의력을 6가지 검사로 다양하게 살펴봅니다.
대한 소아 청소년 정신의학회에서 신뢰도가 공인된 검사입니다.
전산화 인지기능 검사 (CNS Vital Signs 검사)
인지기능과 집중력 저하 문제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이며 FDA 승인도 거쳐 안정성이 입증되었습니다.
10가지 영역(언어 기억력, 시각 기억력, 수지력 검사, 기호 숫자 치환, 스트룹 검사, 인지 전환검사, 연속 수행 검사, 감정인식 검사, 비언어적 추리력, 4부분 연속수행력) 에 대해 40분가량의 평가가 진행됩니다.
언어 평가
언어는 인지능력, 사회성, 학업능력, 자존감 등을 발달시키는데 기초가 되기 때문에, 언어발달이 늦어진 채로 방치된다면 전반적인 발달에 악영향을 주게 됩니다.
언어 평가를 통해 언어발달 상태나 조음 문제, 유창성의 문제가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자격 있는 언어재활사 선생님이 언어 평가를 시행합니다.
학습 평가
학습 평가는 읽기 영역(읽기, 읽기 이해, 어휘), 쓰기 영역(철자, 작문), 수학 영역(기초 연산, 수학 문장제) 검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난독증을 포함한 학습 장애 심층검사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읽기와 쓰기에 영향을 주는 인지 처리능력 검사가 함께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습의 어려움을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자율 신경계 기능검사 (Heart Rate Variability, HRV)
자율 신경계 기능검사는 심박 간격의 미세한 변화를 자동 분석하여 교감 신경과 부교감 신경의 상태와 자율신경 활성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해 줍니다.
본원의 SA-3000 NEW 장비는 한국인의 성별, 나이별 정상인의 표준 데이터를 적용하여(임상 특허 획득) 정확한 진단과 다양한 분석이 가능한 유일한 장비입니다.
특히 소아, 청소년의 우울, 불안 상태 등을 검사하여 주관적인 설문의 제한점을 HRV를 통하여 객관적으로 표현해 줄 수 있습니다.
심호흡시 심박동 검사(Deep Breathing Test, DBT)
호흡을 매개로 하는 심박동의 변화에 대한 검사입니다.
심장에서 심박동 변이는 미주신경을 통하여 조절이 이루어지는데, 흡기시에는 심박동이 증가하고, 호기시에는 심박동이 감소합니다. 심호흡시 심박수의 차이를 통해서 자율 신경계 이상 유무를 알 수 있습니다.
정량 뇌파검사(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QEEG)
정량 뇌파검사는 우리 뇌의 활동을 측정, 분석하여 뇌의 건강 상태를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검사 방법입니다.
뇌가 많이 지쳤거나 균형이 무너져 있을 때 특정 파형이 증가하거나 감소합니다. 스트레스 정도, 우울증, 수면장애, 학습 장애, ADHD, 건망증 등의 질환을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만 6세 이상부터 검사할 수 있습니다.
치매 검사
신경 심리 검사(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SNSB)로 인지기능 검사를 합니다.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를 진단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마음셈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All Rights Reserved.
사업자 번호: 240-99-00596